ㅇ
보리암은 :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尙州面) 상주리 금산 남쪽 봉우리에 있는 절로서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의 말사이다.
683년(신문왕 3) 원효가 이곳에 초당을 짓고 수도하면서 관세음보살을 친견한 뒤
산 이름을 보광산, 초암의 이름을 보광사라 지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이성계가 이곳에서 백일기도를 하고 조선왕조를 연 것에 감사하는 뜻에서
1660년(현종 1) 왕이 이 절을 왕실의 원당으로 삼고 산 이름을 금산, 절 이름을 보리암이라고 바꾸었다.
1901년과 1954년에 중수하였고, 1969년 중건하여 오늘에 이른다.
전국의 3대 기도처의 하나이며 양양 낙산사 홍련암(강원문화재자료 36),
강화군 보문사와 함께 한국 3대 관세음보살 성지로 꼽힌다.
현존하는 건물로 보광전, 간성각, 산신각, 범종각, 요사채 등이 있고,
문화재로는 보리암전 삼층석탑(경남유형문화재 74)이 있다.
이외에 큰 대나무 조각을 배경으로 좌정하고 있는 향나무 관세음보살상이 있으며
그 왼쪽에는 남순동자, 오른쪽에는 해상용왕이 있다.
일설에 따르면 이 관세음보살상은 수로왕의 부인 허황옥이 인도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한다.
남해 금산의 원래 이름은 보광산이다. 신라시대 때 원효대사가 지금의 보리암 자리에서 관음보살을 친견한 후 ‘보광사’라는 절을 창건한 뒤로 ‘보광산’이라 불렸다. 그러다가 조선 건국 후에 금산으로 바뀌었다.
금산은 한려해상국립공원 가운데 유일한 산악공원이며, 예부터 남해 소금강으로 알려진 산이다. 남해 금산은 전국 3대 기도도량 중 하나인 보리암으로도 유명하다.
“이성계가 이름을 하사한 금산(錦山)”
조선 건국을 꿈꾸던 이성계는 전국의 명산을 찾아 기도를 하였다. 남해 금산에서도 100일 치성을 드렸는데, 그때 이성계는 자신이 왕위에 오르면 산에 비단을 선물하기로 약속을 했다. 조선 개국 후 태조 이성계는 약속을 지킬 방법을 논의하기 위해 중신들과 회의를 가졌으나, 별 뾰족한 답을 찾지 못했다. 그러다 중신 중 한 사람이 “우리나라에는 그 산 전체를 덮을 만한 비단이 없으며, 비단으로 산을 감싼다 해도 몇 년이 지나지 않아 누더기가 되므로 산 이름을 ‘금산(錦山)’으로 하는 것이 좋겠다”고 하여 비단 대신 이름을 하사하였다고 한다. 그 뒤로 보광산은 ‘금산(錦山)’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미니여행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 둘레길 8코스 구름정원길에 인접한 진관사및계곡 전경 (0) | 2012.09.01 |
---|---|
남해 무민사와 주위 전경 (0) | 2012.08.21 |
선녀들이 따먹는다는 과일...(미조리상록수림의 천선과나무) (0) | 2012.08.20 |
[스크랩] 세계기행/튀니지아 (인샤알라...) (0) | 2012.08.16 |
[스크랩] 화려했던 고대로마 목욕탕 전경... (0) | 2012.08.15 |